서울외계인
서울외계인 팟캐스트
#628 《위대한 책, 잘못된 논증》 해설 (7)
0:00
Current time: 0:00 / Total time: -6:02
-6:02

#628 《위대한 책, 잘못된 논증》 해설 (7)

"사람이 올바르게 되는 것도 나라가 올바르게 된 것과 똑같은 방식에 의해서라고 우리가 말하게 될 걸로 나는 생각하네."

국가(polis)/혼(psychē) 비유에 관한 중요한 질문

  • 플라톤이 자신의 이상적 사회를 뒷받침한 논증들은 충분히 독창적임

    • 실패한 이유에 대해 철학자들이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음

  • 그러나 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질문은,

    • '플라톤이 구분한 다양한 유형의 사회의 속성이 그 사회 구성원들의 속성에 얼마나 의존하는가?'

      • 국가(polis)는 시민들의 "형상과 성향"(eidē and ēthē)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함 (435e)1

        • 이는 국가(polis)와 혼(psychē)의 삼분법적 구분(국가/혼 비유)만큼이나 플라톤 주석자들을 많은 곤경에 빠뜨렸음

        • 그러나 참주 정체의 피통치자들 자신은 참주 정체적이지 않으며, 플라톤 자신도 참주 정체화된 polis에 대해 그 안에서 최고의 요소를 구성하는 자유인들이 불명예스럽고 비참한 노예 상태로 전락한다고 인정함 (577c)2

          • "형상과 성향"이 공유되고 있지 않음

      • 따라서 올바른 사회가 대다수 올바른 시민들로 이루어져 창조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통치자들이 피통치자들에게 보여주는 행동에서 나타나는 올바름의 의미에 달려 있음

        • 올바른 사람이 올바른 방식이 polis가 올바른 방식과 같다면(441d)3,

          • 올바른 polis가 올바른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는 의미일까?

          • 올바른 소수가 부정의한 다수를 마치 올바른 사람이 부정의하게 행동하려는 자신의 유혹을 통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통제하는 곳이라는 의미일까?

        • '국가/혼 비유'를 사용한 것은 플라톤이 이 양쪽 모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봄 — 버나드 윌리엄스

플라톤의 '올바른' 사회

  • 플라톤이 말하는 올바른 사회

    • 모든 시민 범주의 구성원이 해당 범주에 적합한 기능만 수행하는 사회

      • 단순히 정체(政體)가 공정하게 운영되고, 세금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쓰이며, 법원이 계약을 지지하고, 시민들이 필요할 때 공적 의무를 다하며, 타인의 재산을 훔치거나 폭력으로 타인을 폭행하는 사람이 잡혀 처벌을 받는 사회가 아님 (💡현대의 관점에는 올바른 사회)

    • 올바른 사람은 모든 사람을 정당하게 대우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신분과 그 안에서 자신의 의무를 의심 없이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과 선호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복지에 종속시키는 사람

  • dikaiosynē(디카이오시네)

    • "자기 자신의 일을 하는 것"(ta hautou prattein)

    •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just'(올바른)로 번역함

  • 소크라테스는 "올바른" 개인과 사회가 좋음의 형상에 최대한 가까워지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실질적인 조건들을 자세히 설명함

    • 소크라테스의 실수

      • 올바른 사회의 시민 대부분이 자신의 조건을 충족하는 사회는 그렇지 않은 사회보다 더 조화롭고 질서 있을 수밖에 없고,

      • 그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은 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원하지 않는 사람보다 동기의 충돌로 인해 덜 괴로워한다고 가정하는 것

    • 조화롭고 질서 있는 사회에서 시민들은 각자에게 가장 적합한 일을 수행할 것이라고 생각함

      • 통치자는 통치할 자격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만큼이나 반대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자유의 제한이 자신들을 위한 것이라는 데 동의하기 원함

  • 소크라테스는 처음에 사회를 탄생시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검토할 때, 상호간 필요에 의해 결정되는 분업을 지적하며, 이들은 노동의 결과물을 승인된 상호간 이익을 위해 교환할 것이라고 말함(제2권)

  • 플라톤은 올바른 사회가 수호자, 보조자, 생산자라는 세 개의 분리된 사회계층 간에 기능 분담을 엄격하게 시행하여 제화공이 제화공의 역할에서 벗어나고 싶더라도 그 자리에 머물러야만 한다고 주장함 (374b)4

  • 나중에 소크라테스는 구두장이가 건축을 하고 싶어 하거나 건축가가 신발을 만드는 일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인정함 (434a)5

  • 그러나 생산자가 보조자가 되려고 하거나 보조자가 수호자가 되려고 하는 것은 polypragmosynē, 즉 남의 일에 간섭하려는 충동

    • 소크라테스는 이를 "무엇보다도 더 한 악행"(malista kakourgia)이라고까지 비난함 (434c)6

  • 실제로 실행 불가능한 것은 없음

    • 예를 들어 후기 로마제국, 힌두교의 인도, 제정 러시아에서 통치자들은 노동자들이 아버지의 직업을 따라 평생 그 직업을 유지하도록 강요하는 효과적인 제도적 제재(制裁)를 마련했음

  • 플라톤의 어려움은 두 하위 사회계층(보조자, 생산자)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자유의 제한이 통치자들뿐만 아니라 자신들을 위한 것이라는 데 동의하기를 원한다는 것 (💡자발적 동의를 위한 설득. '다 너희들 위해서 그러는 거야!')

    • 두 하위 계층은 올바른 사회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노예들에게 행사하는 직접적인 강압적 통제의 형태에 종속되지 않음 (433d)7

      • 그들은 통치자들에 의해 자신들에게 주어진 역할에 순응하도록 교육받았기 때문에 통제될 필요가 없음(💡이것은 교육인가 세뇌인가?)

(다음주에 계속)

1

"그러니까 우리 각자 안에는 나라에 있는 것들과 똑같은 종류들과 성격들이 있다는 데에 우리가 동의하는 것은 지극히 필연적이겠지? 그곳 이외의 다른 데서 나라에 있는 것들이 유래되지는 않았을 것이 분명하니까 말일세."

2

"그러나 이 나라에 있어서는, 말하자면, 전체와 가장 선량한 부류가 불명예스럽고 비참하게도 노예의 처지가 되어 있습니다."

3

"사람이 올바르게 되는 것도 나라가 올바르게 된 것과 똑같은 방식에 의해서라고 우리가 말하게 될 걸로 나는 생각하네."

4

"각자에게 한 가지 일만 허용했는데, 이건 각자가 타고난 적성에 맞는 일이며, 이 일이야말로 일생을 통해 종사할 일로서, 다른 일들에 대해서는 한가로이 대함으로써, 적기를 놓치지 않고 훌륭하게 해내게 되어 있는 것일세."

5

"목수가 제화공의 일을 또는 제화공이 목수의 일을 하려 들거나, 또는 이들이 서로의 도구나 직분을 바꾼다거나, 또는 심지어 동일한 사람이 이 양쪽 일을 다 하려들거나, 또는 그 밖의 모든 것이 서로 뒤바뀐다면, 그래 이런 것이 나라를 크게 해칠 것으로 자네에겐 생각되는가?" "별로 그러지는 않을 겁니다."

6

"그렇다면 세 부류인 이들 사이의 참견(polypragmosynē)이나 상호 교환(기능의 바꿈: metabolē)은 이 나라에 대한 최대의 해악(blabē)이며, 따라서 무엇보다도 더한 '악행'(잘못함: kakourgia)이라 불러 지당할 걸세."

7

"또는 저마다 한 사람으로서 제 일을 하고 참견하지 않는 것, 이것이 아녀자와 노예, 자유민, 장인(匠人), 그리고 다스리는 자와 다스림을 받는 자에게 있어서 실현될 때".

Discussion about this podcast

서울외계인
서울외계인 팟캐스트
책, 도구, 수사학, 낭만주의에 관해 씁니다. "경건한 심성을 추구하는 폭넓은 독서 연대"를 추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