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불평등의 진화
인간은 공통의 합의를 통해 자기 스스로 복종에 도달한다 — 호카트
재화의 흐름은 모든 사람의 노동의 결실을 수취해서 재분배하는 권력의 핵심(권위적 인물) 으로 이동함
왜 사람들은 동등한 사람들 간의 단순한 공유 경제에서, 높은 계급과 절대적 권력을 점하는 권위적 인물을 통해 재화를 모으는 경제로 이행했을까?
인간이 자신의 공물을 받아줄 항상 현전하는 가시적 신을 원했고, 이를 위해 스스로 복종한다는 대가를 기꺼이 치렀기 때문
그들이 번성하는 까닭은 자신들의 공물을 가시적으로 받아들이는 신(족장)이 바로 눈앞에 존재하기 때문
번성과 족장이 연결되었던 이유는, 위대한 족장이 있는 부족이 실제로 더 번영을 누렸기 때문 — 순환적 과정
인간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스스로 마련했던 원시인의 타고난 천재성
자신이 신의 눈 바로 앞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자신의 평범한 행위가 우주적 가치를 지님을, 아니 심지어 그 행위가 신 자체를 고양시킴을 날마다 알게 되는 것
일단 그 형태가 가시적인 신의 형상, 즉 제의의 가시적인 주관자가 있으면, 원칙상 이미 신성한 왕권을 갖게 됨
즉 고대 세계의 거대한 폭정이 발흥하는 것
신성한 왕은 그 자신 속에 이 모든 우주론을 집약함
태양-인간(Sun-Man)
왕권은 "인간의 태양화, 태양의 인간화"를 표상함
마나를 지닌 인물과 자기 자신의 안녕을 동일시하는 것은 민주적 투표 과정에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함
전통적 사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건강, 부, 성공을 이미 대표하고 있기에 우리에게도 그 일부를 옮겨줄 수 있는 인물에게 투표하는 경향이 있음
삶을 대표하는 신적 인물을 통해 삶의 재화들을 재분배받아 살아가는 데 일단 동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닫아버리게 됨
왕의 수중에 삶이 독점화되는 과정을 멈출 길은 없었음
누군가 세계에 대한 최상의 규제자가 되면, 그가 점차 전 세계를 포괄하게 되는 것은 논리적
실제로 벌어지는 일은 사회적 불평등의 완전한 공고화
"수확만 좋다면,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폭정은 용인할 태세가 되어 있었다."
인간은 더 장대한 아우라를 지닌 정당성과 상징적 권력을 갖는 무엇인가에 복무하는 경우처럼, 신비화가 동반되지 않는 한 권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
인간은 먼저 가시적 신들이 자신보다 우위를 점하는 것을 허용했고 심지어 환영했던 듯함
그러고 나면 이 신들의 대리자가 내리는 처벌을 받아들이는 일은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수순
이행기를 살았던 사람들이 했던 일은 사회적 불평등과 개인적 독립의 척도를 번영 및 질서와 맞바꾸는 것이었음
지상에서뿐만 아니라 내세에서도 그러했음
통가(Tonga)의 평민에게는 영혼이 없었고, 호카트는 그 사회의 하층계급이 왕의 의례를 모방하기 전까지는 영혼을 갖지 못했다고 믿음
봉건적 구조로의 발달을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
이를 권력 균형의 변천, 즉 보이지 않는 신의 세계에 대한 의존에서 가시적인 사물 세계에 대한 과시로의 변화로 이해하는 것
고전적 포틀래치에서 가시적인 권력의 축적은 명백히 재화 더미에 있었음
로마인이 행했던 '포틀래치'는 원시적 선물 콤플렉스의 쇠락을 보여주는 완벽한 사례
그들의 선물은 단지 공동체를 달래기 위한 미끼에 불과했고, 면죄부보다는 홍보에 가까웠음
도시, 공원, 대학에 있는 카네기, 록펠러 등의 이름을 단 건물로부터, 서구 세계에서 행해지는 이 공허한 포틀래치의 마지막 진화를 봄
뽐내기 위한 영웅주의였고, 참회가 거의 섞이지 않은 권력의 과시
역사적 인간은 초기 인류가 가졌던 무언가를 상실했음 — 역사적 소외
이 문제를 보는 핵심적 관점이 도출되는 두 시각
인간이 재화의 특권적 공유자에서 재화의 재분배에 의존하는 존재로 변모했음
인간이 이제까지 발명했던 것들 중 가장 본질적이고 창조적인 역할, 즉 제의 실행자의 역할을 점차 빼앗기게 되었음
역사적으로 분명 벌어진 일은 제의적인 것의 상실
가족 제의는 국가 제의에 흡수되었음
현대의 부부는 자신들이 높은 지위로부터 역사적으로 몰락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며, 아이의 육신을 통해 자연을 재생하고 공장에서 노동함으로써 번영을 갱신하는 데 충분히 만족함
역사적 심리학이 가르쳐줄 수 있는 위대한 교훈 중 하나는 원시 세계 풍경이 사라진 뒤 인간은 삶을 추구하기 위해 어떤 새로운 방법을 발명해야만 했는가임
(계속)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