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앱인 옵시디언에 대해서는 이전에도 많이(#452, #453, #470, #472) 얘기 했지? 맞지? 그 옵시디언의 부가 서비스 중에 ‘퍼블리시(publish)’가 있는데, 옵시디언에 저장한 노트를 웹 페이지로 게시할 수 있는 서비스야. 다시 말해, 옵시디언으로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거지.
원래는 월 구독료가 20달러(USD)로 꽤 비쌌는데 지난 4월에 가격을 50% 인하했더라고. 다시 써보려고 갔는데 ‘음? 이것보다 비쌌는데…’ 싶어서 찾아보니 그렇더라고. 비싼 구독료가 큰 걸림돌이었는데 타이밍이 좋았어.😆
다시 써보려는 이유는, 내가 만든 노트 중에 공유하면 좋겠다 싶은 것들을 올려놓고 싶어서야. 뉴스레터를 이용해도 되겠지만 아무래도 휘발성이 강해. 쌓이고 연결되면서 계속 변화하는 내용을 보려면 다른 형식
이 필요하겠다 싶어서 말이야.난 요즘 거의 모든 디지털 자료를 옵시디언에 만들고 있고, 추가 작업을 안 해도 바로 웹 페이지로 올릴 수 있으니 작업 흐름이 자연스럽게 연결돼서 좋더라고.
이름은 ‘👾 지식 정원’이라고 붙여 봤는데, 아직 별 내용은 없어(2023-07-12, 2023-07-13 정도). 큰 업데이트가 있으면 뉴스레터로 알려줄게.
그리고, 요즘 《제텔카스텐》 (제텔카스텐 방법론에 대해서는 #14)을 다시 읽고 있어. 처음 읽는 것처럼 내용이 새로운데😮💨, 처음 읽을 때는 빨리 활용하고 싶은 욕심도 있고 이미 조금 안다하는 자만도 있다보니 성급히 읽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네.
의아한 것은 이 책이 현재 품절 상태라는 거야. 중고가가 알라딘에 5만원으로 올라와 있는 것도 그렇고 계속 찾는 사람들이 있을 텐데 말이야. 내 추측으로는 이 한국어판은 초판을 번역한 것이어서, 작년에 나온 개정판으로 다시 번역해서 내놓으려는 것은 아닐까 싶어. 개정판에서 바뀐 부분은 많진 않지만 도움이 될 것 같아. 혹시 한국어판 개정판을 준비중이라면 많은 독자들이 혹평한 저 책표지는 꼭 바꿔주기를. 영어판 표지를 그대로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은데.
이번에 다시 읽으면서 주목하게 되는 부분은 ‘지적인 생활’에 대한 거야. 내가 공부하는 이유는 학문적 업적을 쌓아 명예로운 학자가 되겠다, 그런 건 아니잖아?
그럼 왜 하는 거지?
가만히 생각해 보면…🤔
지식으로 인해 얻는 즐거움이 있다. 다른 즐거움도 많이 있지만, 결국은 다시 돌아오게 되는 즐거움 같은 것.
이 지식들을 확장하고 연결해서 종합하고 싶은 욕구 같은 것이 있다.
다른 사람들과 이 지식, 즐거움을 함께 나누면 좋을 것 같은데?
사람들이 쉽게, 기꺼이 받아들이게 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해봤는데 사람들이 튕겨낸다? 그럼 다른 방법은 뭐가 있을까?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존중으로 우리는 더 나은 인간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결국 지적 희열, 그리고 이런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는 것 같네.
또 공부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도구들 — 방법론, 문구 등 — 을 통해 얻는 재미도 쏠쏠하고 말이야. 알지?
아, 비가 너무 무섭게 온다. 큰 피해가 없기를.
#481 나 왜 공부하나?
정말 <제텔 카스텐> 오늘 개정판이 나왔네요! 한국판 책 표지도 훨씬 나아졌습니다
오~ 새로운 시도를 응원드립니다! 퍼블리시 가격이 정말 많이 다운되었네요.(끌리네요)
주변에 옵시디언을 홍보해서 소수의 지인들이 쓰고는 있는데, 업무 특성상 '동기화'기능이 정말 필수적이라고 생각해서 그 기능만 유료 사용중입니다.
주변의 지인들은 한 달 1만원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사용하지 않더라구요.
일일이 메일로 작성내용을 옮겨서 관리...@_@...하...
새로운 문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고, 필요한 것만 섭취해서 유지하시는 서울외계인님이 대단하신것 같습니다.
비 피해 없도록 조심하시고 계속 공부하는 생활 이어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