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외계인

Share this post

#487 좋은 대화를 수집해서 리뷰한다면?

seoulalien.substack.com

Discover more from 서울외계인

책, 기록, 문화에 대해 씁니다.
Continue reading
Sign in

#487 좋은 대화를 수집해서 리뷰한다면?

'말'에 대한 관심은 나를 어디로 이끌 것인가?

Hochan Choi
Aug 8, 2023
7
Share this post

#487 좋은 대화를 수집해서 리뷰한다면?

seoulalien.substack.com
4
Share

👾 고민은 아니고, 궁리랄까 뭐 그런 걸 하고 있는데 들어보겠소?

🐭 어서 나의 궁금함을 없애주시오.

👾 내가 수사학 공부를 하고 있었잖소. 그리고 엊그제 말했듯이 연설에 대해서도 궁금한 게 많소. 이 둘은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을 자네도 잘 알고 있을 것이오.

섣부른 가설이겠지만, 유튜브가 몰고 온 신(新) 영상시대와 함께 새로운 말의 시대도 오고 있는 게 아닌가 하오. 새로운 시대이니 우리 같은 기성세대에게는 해당되지 않겠지만, 변화의 주변에서 지켜보며 알아차리는 것도 있지 않겠소?

🐭 글자에 중독되어 변기에 앉아 샴푸 설명서라도 읽어야 안심이 되고, 문장을 쌓았다가 허물기를 레고보다 좋아하고, 자려다가도 말의 가벼움에 허탈해 두꺼운 솜이불도 걷어차서 2미터 이상 띄울 수 있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말에 대해서 무슨 말을 할 수 있단 말이오?

👾 나는 사람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관심을 잃었다고 생각하오. 뭐든 눈에 보이는 것만을 인정하고 보이지 않는 것은 없는 것으로 생각한단 말이오. 그러나 알다시피 볼 수 없지만 알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것들은 얼마든지 있소.

그래서 나는 이 보이지 않는 것들과 말의 관계가 궁금해졌소. 어쩌면 글이 아닌 말로 더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있지 않겠나하는 것이오.

🐭 그럼 말을 하고 그걸 글로 옮긴 것은 다른 것이오? 우리의 생각을 내놓는 방식이 다를뿐 아닌가 싶은데 말이오.

👾 나도 거기에 대해서는 모르겠소. 월터 J. 옹의 《구술문화와 문자문화》를 읽어놓지 않은 것이 아쉬울 뿐이오. 예전에 목차를 봤을 때는 관심 가는 부분이 거의 없었소. 그런데 다시보니 지금 내가 궁금해하는 것들을 거의 다 담고 있는 것 같소. 전자문화와도 연결된 내용이 있다보니 더 그렇소.

🐭 선생님께서 읽으라고 한 책 안 읽으면 그렇게 되는 거요. 자, 그럼 이 얘기는 저 책을 다 읽고난 후에 다시 하는 게 좋겠소.

👾 내 얘기 아직 안 끝났소. 물론 저 책은 읽어봐야 하겠지만 모든 해답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진 않소. 그래서 처음엔 한국어로 된 연설을 모아 리뷰해 보는 팟캐스트나 유튜브 채널을 만들어 탐구해볼까 했었소. 그러나 문화적 특성상 한국어 연설은 그 수가 뻔할 것 같단 말이오.

🐭 그럼 어떻게 할 생각이오? 영어로까지 범위를 넓힐 생각이오?

👾 그건 내 능력 밖의 일이요. 그래서 생각한 건, 연설로 제한하지 말고 말로 발표되거나 공연된, 즉 드라마나 영화의 대화(또는 내레이션), 문학 작품 속의 대화 들도 리뷰해 보는 건 어떨까 하오.

🐭 할 수 있겠소?

👾 몇 번이나 할지는 해봐야 알겠지만, 일단 8월 안에 하나 만들어 보겠소.

🐭 기대해 보겠소. 화이팅.👏

7
Share this post

#487 좋은 대화를 수집해서 리뷰한다면?

seoulalien.substack.com
4
Share
Previous
Next
4 Comments
Share this discussion

#487 좋은 대화를 수집해서 리뷰한다면?

seoulalien.substack.com
삶이란먼산
Aug 10Liked by Hochan Choi

허걱^^ 깜놀이닷^^

Expand full comment
Reply
Share
1 reply by Hochan Choi
keaton
Aug 9Liked by Hochan Choi

https://brunch.co.kr/@jaehyukjung/201

" 고정관념에 묶여 아파하는 모든 이들의 마음과 감정을 구원한다. 그리고 그의 드라마가 비범한 건 이 모든 것들을 말의 자리에서 해낸다는 것이다. 말장난처럼 보이는 대사의 나열은 통상적인 용법 밖의 의미를 끌어오고, 이례적인 말의 사용은 새로운 생각을 주조한다. 말이 삶을 구원하는 순간, 사카모토 유지의 드라마다."

Expand full comment
Reply
Share
1 reply by Hochan Choi
2 more comments...
Top
New
Community

No posts

Ready for more?

© 2023 🐭Old Mouse Records
Privacy ∙ Terms ∙ Collection notice
Start WritingGet the app
Substack is the home for great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