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나이 ‘오십 대’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느낌이 들어? 평소에 나이 생각을 잘 하지 않는, 오십 대인 나에게도 오십 대는 뭐랄까 — 중심에서 벗어난, 현역이 아닌, 지금까지 한 일이 아닌 다른 일을 해야할 것 같은 나이대로 느껴져. 각종 인터넷 서비스 가입할 때 선택하는 나이대도 보통 ‘50대 이상’으로 돼있더라. 오십 넘으면 다 똑같다는 건가 싶은 생각도 들고 그래.
이건 내가 성장하면서 아버지 세대를 바라본 느낌이 남아있는 거겠지. 별로 신뢰하진 않지만 ‘100세 시대’라는 말대로라면 이제 인생의 절반을 산 셈인데, 그런 고정관념 같은 게 만들어진 것 같아. 생명보다는 죽음에 가까운 나이.
나는 오십 대가 되면서 신체적 변화보다는 정신적 변화를 크게 겪었어. 큰 사건이 없는 이상 어떤 변화도 극적으로 오는 게 아니라 매일 쓰는 연필처럼 서서히 달라진다고 생각했는데 말이야. 애착과 욕망이 없어지고 삶을 멀리 떨어져서 보기도 하고 지금까지 한 일의 의미를 따져보고 무기력과 우울감에도 빠지고 정말 하고 싶은 일을 다시 떠올려보기도 하는 정신적 변화를 겪었다고 할까.
이런 일이 나한테만 있는 건 아닌가 봐. 평소에 여러 경로로 어떤 책들이 출간되나 살펴보는 게 취미인데, 노골적으로 오십 대를 타겟으로 한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더라. 이전에도 마찬가지였는데 내가 관심이 없어서 눈치 못 챘을 수도 있겠지만.
인터넷 서점에서 ‘오십’으로 검색해보면 엄청난 제목의 책들이 나오지만, 요약하면 결국 자기계발 욕구를 자극하는 것들이야. ‘지금 이건 아닌데’, ‘다른 나로 바뀌고 싶다’, ‘인생에 대한 지식을 알고 싶다’, ‘나이에 맞는 품격을 갖추고 싶다’ 등등에 대한 욕구가 오십 대에게 있다는 것을 출판업계에서도 파악한 것 같아.
알라딘에서는 어떤 책이 제일 많이 팔렸나보니 《오십에 읽는 논어: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이라는 책이야. 이 출판사는 아예 ‘오십에 읽는 동양 고전’이라는 시리즈를 만들어서 내놓고 있더군. 이 책을 산 사람들은 주로 오십 대 또는 넓혀서 보면 사십 대나 육십 대겠지? 삽십 대가 이 책을 집어들 가능성은 별로 없을 것 같아.
그렇다면 그 사람들은 왜 이 책을 선택했을까? 《논어》가 어떤 도움을 줄 거라고 생각했을까 아니면 《논어》라는 텍스트의 권위에 이끌린 것일까? 다시 말해, 동양에서 가장 유명한 이 고전 하나만 읽으면 대부분의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겠지하는 효율성의 원칙을 따른 것일까?
나이대의 변화를 앞두고 벌이는 호들갑은 우리 모두 익숙하지? 이십 대는 삽십 대를 앞두고 이제 더 이상의 젊은 시절은 없을 거라며, 삼십 대는 사십 대가 되면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것처럼 느끼곤 하지. 그런데 오십 대는 이전과 다르게 직업적 위기와 실존적 위기가 함께 찾아오는 시기여서 더 진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
난 이제 오십 대보다는 늙는다는 것, 노년이라는 시기를 맞이 한다는 게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졌어. 의미, 목표, 위치, 정체성 등의 혼란을 차분히 정리할 방법이 필요할 것 같아. 우선 사뒀던 《노화학 사전: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노화의 모든 것》, 《노년: 나이듦의 의미와 그 위대함》, 《나이듦의 철학: 지속하는 삶을 위한 성격의 힘》,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등을 느긋하게 읽어보려고 해.
#457 오십은 참 애매한 나이인 것 같아
저는 요즘 이강룡 쌤의 과학의 위로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요. 이 책 3장 과학과 수학의 '스칼라와 벡터' 부분에 뭔가 외계인님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 것 같아요.
'나'라는 인간을 규정하려면 몇 가지의 정보와 몇 차원 이상으로 보는 시선이 필요한건지.. 오십대에 접어들었다면 외계인님은 적어도 50차원 이상으로 들여다 볼 수 있을 사람일 수 있고, 고차원으로 가는 길은 힘이 더 많이 들테니 성장통(혹은 확장통?)필수인데다 차원이 바뀌는 여러 부분의 충돌이 생길 것 같아요. 이강룡 쌤은 '더 많은 차원을 지닌 사람은 더 많은 세상에서 더 많은 삶을 누리며 사는 것이다.' 라고 표현했는데, 마음이 쿵 했습니다. 삶의 어떤 페이지에도 성실하게, 그리고 열린 맘으로, 그럼에도 단단한 중심으로 살고있는 외계인님의 다음 차원이 궁금하고, 외계인님 덕에 제 세계의 차원도 깊고 넓어졌음 좋겠습니다🙂
쓰리 제이 때문에 27이 저한텐 어떤 첫 기준이었는데 갈수록 무뎌지더라구요. 30만 되도 어른이 될 줄 알았건만 그렇지 않아 그랬던 걸까요. 그렇게 나이를 의식할 생각과 새도 없이 그렇고 저렇고 이렇게 돼 이 순간에 와서 "정신적 변화"를 겪고 있어요. 저도 '었다'고 하면 좋을 듯한데 아직도 겪는 것 같아요. 좀 이상하다 싶었던 초반엔 정말 괴로웠지만, 이게 여러 요소와 맞물려 이런 건가 누구나 이때면 이런 건가 해서 일단 이런 감정들과도 같이 가기로 했어요. 개인 블로그에 쓸 이야기를 댓글로 장황하게 늘어놓은 건 서울외계인님 혼자 그런 건 아니라는 일종의 응원?;;;;
청미는 작년 도서전 때 우연히 알게 된 출판사인데 컨셉이 확실한 데다 대표가 책들을 되게 열정적으로 설명해 줘서 그런지 좋아요. 저 책은 저도 한번 살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