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나이 ‘오십 대’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느낌이 들어? 평소에 나이 생각을 잘 하지 않는, 오십 대인 나에게도 오십 대는 뭐랄까 — 중심에서 벗어난, 현역이 아닌, 지금까지 한 일이 아닌 다른 일을 해야할 것 같은 나이대로 느껴져. 각종 인터넷 서비스 가입할 때 선택하는 나이대도 보통 ‘50대 이상’으로 돼있더라. 오십 넘으면 다 똑같다는 건가 싶은 생각도 들고 그래.
이건 내가 성장하면서 아버지 세대를 바라본 느낌이 남아있는 거겠지. 별로 신뢰하진 않지만 ‘100세 시대’라는 말대로라면 이제 인생의 절반을 산 셈인데, 그런 고정관념 같은 게 만들어진 것 같아. 생명보다는 죽음에 가까운 나이.
나는 오십 대가 되면서 신체적 변화보다는 정신적 변화를 크게 겪었어. 큰 사건이 없는 이상 어떤 변화도 극적으로 오는 게 아니라 매일 쓰는 연필처럼 서서히 달라진다고 생각했는데 말이야. 애착과 욕망이 없어지고 삶을 멀리 떨어져서 보기도 하고 지금까지 한 일의 의미를 따져보고 무기력과 우울감에도 빠지고 정말 하고 싶은 일을 다시 떠올려보기도 하는 정신적 변화를 겪었다고 할까.
이런 일이 나한테만 있는 건 아닌가 봐. 평소에 여러 경로로 어떤 책들이 출간되나 살펴보는 게 취미인데, 노골적으로 오십 대를 타겟으로 한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더라. 이전에도 마찬가지였는데 내가 관심이 없어서 눈치 못 챘을 수도 있겠지만.
인터넷 서점에서 ‘오십’으로 검색해보면 엄청난 제목의 책들이 나오지만, 요약하면 결국 자기계발 욕구를 자극하는 것들이야. ‘지금 이건 아닌데’, ‘다른 나로 바뀌고 싶다’, ‘인생에 대한 지식을 알고 싶다’, ‘나이에 맞는 품격을 갖추고 싶다’ 등등에 대한 욕구가 오십 대에게 있다는 것을 출판업계에서도 파악한 것 같아.
알라딘에서는 어떤 책이 제일 많이 팔렸나보니 《오십에 읽는 논어: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이라는 책이야. 이 출판사는 아예 ‘오십에 읽는 동양 고전’이라는 시리즈를 만들어서 내놓고 있더군. 이 책을 산 사람들은 주로 오십 대 또는 넓혀서 보면 사십 대나 육십 대겠지? 삽십 대가 이 책을 집어들 가능성은 별로 없을 것 같아.
그렇다면 그 사람들은 왜 이 책을 선택했을까? 《논어》가 어떤 도움을 줄 거라고 생각했을까 아니면 《논어》라는 텍스트의 권위에 이끌린 것일까? 다시 말해, 동양에서 가장 유명한 이 고전 하나만 읽으면 대부분의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겠지하는 효율성의 원칙을 따른 것일까?
나이대의 변화를 앞두고 벌이는 호들갑은 우리 모두 익숙하지? 이십 대는 삽십 대를 앞두고 이제 더 이상의 젊은 시절은 없을 거라며, 삼십 대는 사십 대가 되면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것처럼 느끼곤 하지. 그런데 오십 대는 이전과 다르게 직업적 위기와 실존적 위기가 함께 찾아오는 시기여서 더 진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
난 이제 오십 대보다는 늙는다는 것, 노년이라는 시기를 맞이 한다는 게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졌어. 의미, 목표, 위치, 정체성 등의 혼란을 차분히 정리할 방법이 필요할 것 같아. 우선 사뒀던 《노화학 사전: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노화의 모든 것》, 《노년: 나이듦의 의미와 그 위대함》, 《나이듦의 철학: 지속하는 삶을 위한 성격의 힘》,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등을 느긋하게 읽어보려고 해.
제쳐두곤 하는 고민에 자연스럽게 초대해주시는 글 감사합니다. 예전에 로마노 과르디니 신부가 쓴 <<삶과 나이>>라는 책을 읽고 잔잔한 용기를 가졌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주제입니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구나~ 50이 되니 죽음이란 것이 그리 먼 얘기가 아니라는 느낌이 들고, 피어나기보다는 사그라드는 것 같아서~~ 뭐랄까~~ 쓸쓸한 기분을 넘어서 서글픈 기분~~
훗날, 50대가 참 좋은 시절이었다고 회상할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응원을 해 보지만, 쓸쓸한 느낌이 잘 안 바뀌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