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이 할 수 없는 것들》을 읽다가 내용이 너무 지루해서, 몇 년 째 읽으려고 벼르고만 있는 조가경 교수의 《실존철학》을 펼쳤다. 이 책만 잘 읽어도 실존철학에 대한 대부분의 내용이 정리된다고, 선생님께서 그러셨었다. 그 말씀을 듣자마자 사놨던 게 다행인 것이, 지금은 중고 외에는 구할 수가 없고 그 중고가마저 꽤 비싸기 때문이다.
기억이 정확하진 않지만 십대 후반, 이십 대쯤에 처음 관심을 가진 철학이 실존주의, 실존철학이었다. 문학 작품들과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이 책이 당시의 나에게 유익했는지 유해했는지는 아직 판단이 잘 안 된다.) 영향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 《실존철학》은 목차만 봐도 내가 선입견으로 가지고 있는 실존철학과는 큰 차이가 있다.
인터넷서점의 책 정보에도 간단한 목차만 나와있어서 책 내용이 궁금한 사람들은 참고할 수 있는 방법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목차를 옮겨봤다. 앞으로 계속 이 책을 정리할지는 생각을 좀 해봐야겠다.
《실존철학》, 조가경(지음), 박영사, 1995(개정중판)
목차
서론: 현대와 실존철학적 상황
실존철학의 '현대성'과 '유행성'
현대적 상황과 실존철학의 상호관계
실존철학과 우리의 주체적(主體的) 자각
구라파 실존철학의 근황
제1부: 실존사상의 발전사적 개관
제1장: 실존사상의 역사적 연원
실존철학 이전의 실존사상
실존적 경험의 무신론적 특징
자연과학, 철학, 종교의 교차점 — 파스칼
제2장: 실존철학의 현대적 선구자 키에르케고르와 니체
키에르케고르의 역설적(逆說的)인 실존
니체의 자기극복의 위험에 사는 실존
무신론(無神論)과 유신론(有神論)의 구별에 관하여
제3장: 허무주의와 인도주의의 연장선상에서
니체가 예언한 구라파적 허무주의
현대의 획기적 공허와 인도주의
인도주의와 실존주의
현대에 부과된 실존적 결단의 과제
제2부: 실존철학의 대상(對象)과 방법
제1장: '비대상적 대상'으로서의 실존의 개념
'본질'에 후행(後行)하는 '실존'에서 '이념'에 선행(先行)하는 '실존'으로
셸링의 '실존'의 주의주의적(主意主義的) 성격
신 앞에 선 단독자(單獨者)
현대적 실존개념의 여러 유형
제2장: 현상학적 방법과 실존철학
체계이념과 인식론의 후퇴에서 다시금 방법적 반성으로
후설의 현상학적 방법
주체성의 파악과 자기 소외의 문제
제3장: 실존적 근본경험과 간접적 보고(報告)
실존적 경험에의 접근양식의 문제점
불안·수치(羞恥)·권태·구토증(嘔吐症)
간접적 보고
제3부: 실존철학의 근본문제
제1장: 우연성과 유한성의 문제
고전철학의 관심에서 배제된 문제들
사유의 필연성과 실존의 우연성
현존재의 유한성과 '죽음'의 의미
제2장: 초월과 자유의 형이상학
형이상학의 이론적 가능성과 실존적 현실성
수평적 초월과 수직적 초월
초월과 자유의 상호관계
제3장: 실존적 인간해석의 문제
현대인의 자기이해의 새 과제와 신화(神話)
실존론적 분석과 '쿠라'의 신화
형이상학적 반항인간 '프로메테우스'
세계의 부조리와 '시시포스'적 운명
제4장: 역사 이해의 문제
선행(先行)하는 사관(史觀)의 줄거리
역사 이해를 위한 '아르키메데스'의 지점(支點)을 찾아서
실존론적 역사 구성, 시간성에서 역사성으로
역사에의 주관적 통로와 실존적 책임
실존의 완전한 역사화
제4부: 실존철학의 학문이론
제1장: 지성과 실존의 문제
지성의 개념
'지성과 실존'에서 '지성의 실존'으로
실존하는 지성은 철학 일반의 원천
제2장: 실존철학의 진리관
실존철학에 있어서의 진리문제의 위치
주체적 진리와 지적 성실성
존재의 비은폐성과 진리탐구의 미로행각(迷路行脚)
제3장: 철학과 과학의 관계
학문이념에 대한 극단적 비판
과학과 철학에 대한 주체성과 성실성의 입장
실존해명과 현대과학
과학을 넘어서서 사유하는 '숙고(熟考)'
제4장: 존재의 사유와 논리학
하이데거의 사유의 논리학적 유래
'논리학' 이념비판의 양면구조
전통적 형이상학의 극복 — 논리학의 한계의 자각
논리학의 무기로써 '논리학'에 대함
사유의 변증법적 본질
제5부: 현대 실존철학의 개별적 형태의 특징
제1장: 실존해명과 실존론적 존재론
하이데거의 기본존재론 — 계사(繫辭)에서 판단의 주체로
야스퍼스의 실존해명과 존재의 삼분법(三分法)
존재해명의 두 경로, 그 분기점과 복주점(輻輳點)
제2장: 현상학적 존재론의 두 형태 — 하이데거와 사르트르
대상과 방법의 일치와 '현상개념'의 차이
존재 역사와 참여의 역사
사르트르의 '성실'과 하이데거의 '본래성'의 신학적 의미
제3장: 희망과 절망, 낙관론과 비관론 — 사르트르 대 마르셀
불란서 지성의 전통 — 보편적 회의정신(懷疑精神)과 윤리성
상호주체성(相互主體性)의 두 형태 — 마르셀과 사르트르
낙관주의와 비관주의의 실존적 의미
제6부: 실존철학의 비판
제1장: 근본적 전제의 소극적 성격
본질을 떠난 실존의 비현실성
향내적(向內的) 주체성과 그 진리의 한계
실존철학자에 있어서의 실존의 문제
제2장: 실존철학의 피안(彼岸)
실존철학의 한계와 피안의 '세계'
극복의 필연성과 곤란성 및 대안
존재에의 '환귀'(還歸)와 세계에의 회귀(回歸)
제3장: 실존과 현실파악의 문제
'현실'문제의 자명성(自明性)과 의문성
정치적 현실과 철학
현실에 대한 적극적·소극적인 실존적 태도의 의미
현실보다 엄숙한 실존의 정세(情勢)
제4장: 남은 과제와 금후의 전망
과학적 객관주의와 실존
실존철학에서 현상학에로의 길
금일의 숙제와 명일(明日)의 전망
사항색인
인명색인
100개 가까운 목차가 어쩌면 그렇게 하나같이 답답하기만 허냐?
ㅋㅋㅋ